인권연구소 연혁(202412월 현재~ 2007)

* 20001115, 인권운동사랑방 부설 인권운동연구소로 창립
* 20068월 인권운동사랑방에서 독립, 인권연구소 으로 개칭
* 설립 목적
인권이론 연구 및 인권운동 기록
인권활동가 교육 및 역량강화
첨예한 인권문제에 대한 인권운동의 대응 이론과 전략 모색


* 인권아카이브: 인권연구소 ''에서는 인권에 관한 정보의 확산과 공유를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(http://hrarchive.or.kr)를 구축하여 누구나 인권의 기록들을 자유롭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. 웹페이지에는 1990년대 이후 인권단체, 네트워크, 연대체에서 생산한 기록들이 등록되어 있으며 매월 새로운 기록을 수집하여 업로드하고 있습니다.

2024

* 연중 노인·케어·인권 팀세미나

창연혁(2024년12월21일현재).hwp
0.07MB

* 6월 한·일 노년 돌봄의 현장소수성들의 만남을 중심으로 주최(성공회대 동아시아 연구소와 공동) 2024615() 14~17, 광화문 향린 교회

* 8월 인권의 새로운 도전과제 대응과 인권이념의 재구축을 위한 인권활동가 전략 캠프 8차 기획 및 주관

 

: 202481~29(매주 목, , 오후 3~6, 815일 제외)

: 서울 정동 프란치스꼬 회관

1~3: 취약성, 상호의존성, 관계론적 접근(관계적 자율성, 상호행위주체성)을 키워드로 인권론 재구성하기

1차 정성식(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), 호연(서교인문사회연구실)

2차 배경내(인권교육센터 상임활동가), 진은선(장애여성공감 활동가)

3차 유해정(재난피해자권리센터 우리 함께센터장), 서보경(휘말린 날들저자)

4: 인구변동이 인권에 미치는 영향, 부상하는 인권 문제는 무엇인가?

임동근(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연구원), 이슬기(전 서울신문 기자)

5: 노년 인권을 맞이하는 관점에 대하여, 학대와 부양의무 논의 등을 넘어서

김영옥(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상임대표), 박명애(장애노인연대 대표)

6: ‘돌봄’(케어, 보호, 후견, 지원)을 둘러싼 인권운동 내 긴장과 논쟁에 대하여, 장애권리운동과 페미니즘 관점을 교차하기

황지성(서울대 여성연구소 선임연구원), 전근배(대구사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)

7: 존엄한 죽음에 대하여, 조력사 법제화에 대한 찬반 논의를 넘어서 삶과 죽음의 통합성과 존엄에 초점 맞추는 논의는 어떻게 가능한가?

이진희(장애여성공감 활동가), 임재우(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재택의료센터장)

8: 정치의 위기 속 부족주의적 권리 주장과 대결 속에서 인권의 자리는? 보편성의 재검토 및 인권의 정치의 원칙들 확인하기

이승원 (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선임연구원), 정정훈(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)

 

12돌봄의 상상력출간

 

2023

 

* 연중 노인·케어·인권 팀세미나

* 1~3월 돌봄과 인권에 관한 인권활동가 교육 10차례 개최

* 돌봄과 인권전국 북토크: 원주, 부산, 광주, 대구, 대전, 제주의 각 지역 국가인권위원회 지부가 주최하고 보건의료운동 관계자와 함께하는 북토크

* 6월 일본 돌봄 현장 방문 연구 <시민적 돌봄을 향하여: 시민의 자리에서 돌봄의 경로를 탐색하기> 발간: 고베이주자지원센터(KFC), 사회복지법인 하트풀, 아마가사키 한신의료생협, 지자체 히가시오사카시, 데이케어센터 사랑방

* 2023년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교육 연구용역사업으로 1932명을 인터뷰한 <돌봄과 인권 사례집> 개발

 

2022

 

* 10존엄, 자유, 평등, 연대로 만나는 인권교과서발간

* 12돌봄과 인권발간

* 기후위기, 탈성장과 인권, ‘자유주의담론과 인권운동을 주제로 연중 세미나

* 연중 노년·케어·인권 팀세미나

 

2021

 

* 연중 노년·케어·인권 팀세미나

* 연중 노동권의 의미 재구성을 위한 세미나

* 대체역심사위원회 참여: 대체역 심사 위원회 제1차 연례보고서 작성 및 1주년 기념 토론회를 TF 팀장으로 기획하고 실행

* 12월 인권저널 <인권운동> 3호 발간

 

2020

 

* 연중 인권교육 동영상 8편 제작: 국가인권위원회, 연분홍치마와 공동으로 존엄, 자유, 평등, 연대를 주제로 인권교육동영상 8편 제작에 참여. 기본원고 집필 및 영상 감수

* 연중 노년·케어·인권 팀세미나

* 9-11월 코로나19와 인권의 원칙: 인권활동가 집담회 조직 및 발제

* 8월 레트로토피아 세미나: 부족주의와 포퓰리즘 현상에 대한 대응전략 세미나

 

2019

 

* 인권근현대사 전체 5부 중 4<인권운동사> 책임 기획 및 집필: 2019년은 3.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인권의 관점으로 보는 <대한민국 인권 근현대사> 발간을 추진. ‘은 발간위원회 참여 요청에 부응해 1년여 기획, 필자섭외, 집필, 원고 감수를 책임짐.

* 12사람을 옹호하라출간

* 연중 세미나: 평화체제와 인권 그리고 분단사회의 경계인들, 자료집 발간

* 12월 인권저널 <인권운동> 2호 발간

* 영화진흥위원회 내 영화인권리 증진 소위원회참여: 영화제작현장 관련 일터괴롭힘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 집필

 

2018

 

* 12월 인권저널 <인권운동> 창간호 발간

* 12월 세계인권선언 제정 70주년 기념 인권그림전시회 오늘, 인권을 그리다를 서울 인사동에서 일주일 동안 개최

* 연중 세미나: <제국과 인권>, <인권운동사>, <인권교육교재개발모임>

* 보건복지인력개발원 아동복지교육부에서 개발하는 동영상 프로그램 <아동권리의 이해> 5회분을 집필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감수

 

2017

 

* 연중 <한국인권운동사> 세미나: 1990년대 이후 각 정권별 주요사건을 점검하고 인권일지를 엑셀로 작성, 비엔나세계인권대회 공대위를 비롯 최근까지 만들어졌던 인권운동 연대체의 역사를 짚어보는 세미나

* <길 위에서> 세미나: 촛불시위이후 집회시위의 자유를 짚어보는 세미나. 집회시위의 역사를 철학, 정치학, 법학 등과 여성주의 관점에서 살펴 봄.

 

2016

 

* 인권아카이브 자료관리시스템 개발완료

* 인권활동가 수다로 엮는 인권운동사 6회 개최

* 인권활동가 훈련 프로그램 <인권활동가를 위한 글쓰기 교실> 8회 개최

* 연중 세미나 <감정의 정치학>

* 1미처하지 못한 말-이제 마주하는 인권의 문장들출간

* 6일터괴롭힘, 사냥감이 된 사람들출간

 

2015

 

* 3월 인터넷 신문 <인권오름>에 연재해온 인권문헌읽기’ 100회 집필 마무리

* 4.16인권선언 제정 성안팀 참여, 선언 초안 작성

* 7다른 게 틀린 건 아니잖아출간

* 10심야인권식당출간

* 연중 <감정의 정치학> 세미나: 혐오 등의 감정과 한국사회의 혐오 발화에 주목

 

2014

 

* 7월 직장 내 괴롭힘 연구 세미나 시작

* 연중 사회권 강좌 10

* 인권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시작

 

2013

 

* 대한문 농성촌(쌍차·강정·밀양 공동투쟁) 계속 결합

* 우리는 서로 틀림없이 다르다출간

* 사회권 세미나 계속

 

2012

 

* <장소와 인권> 강좌 9: 쫓겨나지 않을 권리, 한국 사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장소를 향한 투쟁에 대해

* ‘안전에 대한 고민 나누기 워크샵 6: 안전담론과 치안(경찰)국가가 강해질수록 아동이나 여성 등 사회적 약자는 오히려 더 안전하지 못하다. 안전이 뜨면 뜰수록 오히려 우리는 안심하지 못하는지, 인권을 위협하는 안전담론에 맞서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실천에 대해

* 인권활동가 글쓰기 모임 구설수’: 2011<문학과 인권>강좌의 후속모임으로 인권감수성에 기초한 글쓰기 모임 연중 진행

* 사람인 까닭에출간

* 2012 생명평화대행진, 함께살자 농성촌 참여하며 팟캐스트 돌담길 옆 톡톡톡진행

 

2011

 

* <문학과 인권> 세미나 4, <사랑과 인권> 세미나 8

* <중남미의 삶과 인권> 세미나 4

* 공공성 강좌 5: 사회권과 복지 사이에서

* 자유권의 후퇴와 퇴행방지에 관한 워크샵 4

 

2010

 

* 신자유주의와 법치주의 강좌 10

* <반인권의 마음, 마음의 인권화> 강좌 6

* 철학과 인권 세미나(바우만 4, 버틀러 4, 랑시에르 5)

* 연대(solidarity)에 관한 세미나 10

* 515<흉악범죄 처벌강화의 인권적 쟁점> 끝장토론회(9시간)

 

2009

 

* 철학과 인권 세미나(푸코 4, 바디우 4, 아감벤 4, 발리바르 4, 아렌트 4)

* <영화를 통해 우리 시대 읽기와 인권 감수성 키우기> 강좌 10

* 인권을 외치다출간

 

2008

 

* 세계인권선언 40강좌

* <신자유주의의 인권화, 인권의 신자유주의화> 강좌 5

 

2007

 

* 상설 인권입문강좌 세 차례(18, 26, 34)

* ‘연대에 관한 강좌 11

* 530일 인권운동사랑방 부설 인권운동연구소에서 인권연구소 으로 개칭한 후 창립토론회: 인권활동가 50인이 말하는 한국인권운동의 현황

* 인권운동에서 연대가 갖는 의미와 방향성에 대한 토론회

'소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인권연구소 '창' 브로셔  (0) 2024.12.25

+ Recent posts